0. git이 없다면 git 설치하기
-버전(Windows,Linux 등) 에 맞게 다운로드 후,
-최초 1회 사용자 정보를 설정한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이름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@example.com"
1. github 가입하기 참고
GitHub 계정 생성하기
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둘 수 있는 사이트로 즉 원격 저장소를 대신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.GitHub에 소스코드를 올려두면 시간, 공간의 제약 없이 협업할 수 있다.프로젝트를 공개저장
velog.io
2. 깃허브 repository 저장소 만들기
[Git] GitHub 레파지토리(Repository) 생성하고 소스 올리기
[Git] GitHub 레파지토리(Repository) 생성하고 소스 올리기
Git >Git은 개인 혹은 팀 간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툴입니다. 따라서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익숙해져야 할 기술 중 하나입니다. > 이번에는 git을 이용해
velog.io
3. 기본 깃허브 명령어
(1) clone - 레포지토리 소스 코드를 로컬 폴더로 가져온다.
git clone [레포지토리주소]
(2) init
git init
깃 초기화, 소스코드를 추적하는 .git 폴더가 생성됨.
(3) 코드 변경 후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코드를 push 하게 된다.
git init
git add .
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git branch -M main
//이미 main이라면 하지 않아도 된다.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사용자명/레포지토리명.git(레포지토리 주소)
//연결되어 있으면 하지 않아도 된다.
git push -u origin main
//최초에는 -u 옵션인 --set upstream을 사용한다. 이후에는 생략해도 된다.
간단한 실습 예시
폴더를 만들고 VScode로 내부에 파이썬 파일을 하나 만들었다.
※폴더에 대고 code . 명령어를 입력해도 VScode를 바로 열 수 있다.
1. .git 폴더가 없는 상황이므로
git init
을 통해 초기화.
그럼 기본적인 main 브랜치로 잡힌다.
2. git status를 통해 untracked files를 확인해본다. 아직 commit하지 않았으므로
만든 githubexample.py 가 추적되지 않은 파일로 나온다.
git status
3. 영역에 커밋해 보자
add 명령어를 사용해 파일을 Staging Area( 스테이징 영역) 으로 이동시킨다.
git add .
파일을 지정할 수도 있지만, . 로 전체 파일을 이동시켰다.
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커밋 메세지를 적어 커밋한다.
커밋 메세지의 경우는 팀에서 정한 커밋 컨벤션의 내용을 따르기 바람.
git add 시에는 이렇게 파일이 추적된다.
커밋하고
git log
를 사용해 확인해보았다.
방금 커밋한 내용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.
깃허브 레포지토리와 연결하기
본인의 깃허브 계정에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해당 내용을 push 해보겠다.
1. public으로 레포지토리를 하나 생성해보았다.
remote - 깃허브와 연동
2. 본인의 깃허브 레포 주소 본인이름/레포이름.git 을 복사할 수 있다.
git remote add origin <레포지토리 주소>
git branch -M main
git push -u origin main
-u 옵션은 --set-upstream 의 축약형으로
해당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를 연결해준다.
push 후 레포지토리를 확인하면 파일이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브랜치 만들어 작업하기
다른 기능을 개발하거나 수졍하기 위해서는 다른 브랜치를 만들어 이용해야 한다.
feature 이라는 이름의 브랜치를 생성해 파일 하나를 더 추가해보겠다.
원래는 이슈 생성 -> 브랜치 생성 순서대로 하지만 지금은 브랜치만 생성하도록 하겠다.
1. checkout -b 로 브랜치 생성
git checkout -b 브랜치명
만들면서 해당 브랜치로 이동한다.
2. 새로운 파일이나 작업사항 생성
add 와 commit 진행
여기서 바로 git push origin
을 한다면, 되지 않는다.
※The current branch feature has no upstream branch
현재 브랜치는 upstream 브랜치 없음
우리가 이슈 -> 브랜치에서 생성할 때는 원격 브랜치가 있는 상황이지만
현재는 로컬에서 바로 브랜치를 만들었기 때문에 upstream과 연결 작업을 해줘야한다.
3. git push -u origin 브랜치명
git push -u origin 브랜치명
또는
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브랜치명
연결되고 push 되었고, 확인해 보면
레포지토리에서 새 브랜치 feature 을 확인할 수 있다.
4. 다시 main 브랜치로 이동하고 싶다면
git checkout <이동할 브랜치명>
feature에서 원래의 브랜치 main으로 이동하였다.
⁕ 융보공과 TAVE 스터디 자료를 위해 작성.